MS Windows 라이선스 정책을 정리해본다.
1. 구독형 vs 구매형
SPLA 와 L&SA(License and Software Assureance)
구매 선택지에 크게 두가지가 있었다.
구독형과 구매형이며, 구독형이 단기적으로 더 저렴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구매형이 더 저렴했다.
구매형 모델 중 L&SA 는 라이선스를 구매하고 매년 SA비용을 추가로 내야한다.
L&SA로 운영중이기 때문에 아래부터는 L&SA로 기술한다.
2. 웹서버, DB서버
서버 라이선스만으로 모든 Application을 사용할 수 있는것은 아니다.
웹서버로 사용하려면 EC(Externel Connector) 또는 CAL을 구매해야한다.
SQL서버로 사용하려면 SQL 서버 라이선스를 구매해야한다.
3. 가상화서버와 VM
가상화 서버에 VM을 올려서 사용하는 경우는 어떨까?
가상화 서버가 Windows서버일 경우 기본 16코어 라이선스를 구매해야한다.
가상화 서버당 2개의 VM을 기본으로 올릴 수 있다.
2개를 초과할때는 다시 16코어 단위의 추가 라이선스가 필요하다.
단, 같은 가상화 서버 내의 서버의 경우 코어 합산이 가능하다.
(ex. 가상화서버(16core) + 기본 VM2개 + 추가 VM(12core) 1대 + 추가 VM(4core) 1대 => 16코어 라이선스 2개로 충족)
4. 구매 단위
서버는 기본적으로 16코어 단위로 구매한다.
16코어 미만의 서버도 16코어의 라이선스가 필요하며, 물리서버끼리의 코어 합산계산은 불가하다.
(ex. 12core 1대 + 4 core 1대 => 16코어 라이선스(16x1) 구매(X)
32코어 라이선스(16x2) 구매(O)
SQL서버는 16코어 단위가 아닌 4코어 단위 구매가 가능하다.